티스토리 뷰
목차
고물가 시대에 교통요금까지 오른다고 해서 답답한 마음 드셨을 것 같습니다. 교통비 절감을 위해 사용하고 계셨을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확대되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할인받을 수 있고 적립 횟수도 월 60회로 상향되었다고 합니다. 매일 대중교통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지금이라도 신청해 혜택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란?
알뜰교통카드 사업은 국토교통부에서 2020년에 시행된 사업입니다. 정부와 카드사가 연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러 가는 동안 걷거나 자전거를 탄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정책입니다. 처음 시행된 이래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이용자 수는 계속해서 증가해 사업이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편의성도 좋아졌으며 참여하는 카드사도 많아졌다고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는 것과 더불어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마일리지 형태로 지원금을 제공하고 카드사는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교통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혜택
최근 7월 초부터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플러스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더 좋아졌다고 합니다. 기존에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횟수가 월 44회였던 데 반해 플러스 정책이 출시되면서 최대 60회까지 지급횟수가 상향되었습니다. 이렇게 적립되는 횟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최대 적립금 역시 변화가 있었는데요. 월 최대 적립금이 48,000원에서 66,000원까지 증가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방법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업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카드를 신청해야 합니다. 이 사업에 등록하였던 카드사는 신한·우리·하나카드, 티머니, 캐시비, DGB대구은행으로 기존에 6곳이었으나 현재는 7곳(국민·현대·삼성·농협·비씨카드, 광주은행, 케이뱅크)이 더 신청하여 총 13곳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먼저 마일리지 적립을 위해 전용 어플인 알뜰교통카드 앱을 다운한 뒤 회원가입을 하면 됩니다. 발급받고자 하는 카드사의 카드를 발급받은 뒤 회원가입을 해도 되고, 어플이나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한 뒤 원하는 카드를 발급받은 뒤 등록하여도 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카드사별 정리
해당 사업과 연계된 카드사가 많아져서 이용하시는 분들은 좀 더 편하게 카드를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교통비 지원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알뜰교통카드가 있어야 하는데 각 카드사별로 제공하는 내역이 조금씩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연회비가 있는 신용카드와 연회비가 없는 체크카드에 대해 교통과 관련된 혜택을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빠르게 확인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카드사를 클릭하면 바로 이동하실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체크카드
카드사 | 카드명 | 주요 카드 혜택 |
기업은행 | I-알뜰교통 플러스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건당 100원 할인 |
삼성카드 |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체크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금액의 10% 캐시백 |
농협카드 |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체크카드 | 버스·지하철 10% 할인, 렌터카·카쉐어링·전기차 충전 5% 할인 |
신한카드 | 알뜰교통 S20 체크카드 | 전국 버스·지하철·택시 이용시 10% 캐시백 |
하나카드 | 알뜰교통 비바 e 플래티늄 체크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시 15% 캐시백 |
국민카드 |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체크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시 10% 적립 |
우리카드 | 알뜰교통카드 쿠키 체크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시 3천원 캐시백 |
케이뱅크 | MY 체크카드 알뜰교통 플러스 | 버스·지하철 탈 때마다 최대 450원씩 캐시백, 대중교통비 매달 5만원 이상 지출 시 월 3,000원 캐시백 |
신용카드
카드사 | 카드명 | 주요 카드 혜택 | 연회비 |
농협카드 |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용카드 | 버스·지하철 10% 청구할인 렌터카·카쉐어링·전기차 충전 10% 청구할인 |
국내전용 13,000원 해외겸용 15,000원 |
BC카드 | 바로 알뜰교통 플러스 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시 15% 결제일 할인 | 국내전용 6,000원 해외겸용 7,000원 |
국민카드 | 알뜰교통 플러스 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시 10% 할인 | 국내전용 8,000원 해외겸용 8,000원 |
우리카드 | 알뜰교통카드(신용) | 버스·지하철 이용시 10% 청구할인 | 국내전용 13,000원 해외겸용 15,000원 |
신한카드 | 알뜰교통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시 10% 할인 택시 10% 결제일 할인 |
국내전용 12,000원 해외겸용 15,000원 |
광주은행 | K-그린카드 v2 | 버스·지하철 이용시 10% 포인트 적립 | 국내전용 10,000원 해외겸용 12,000원 |
삼성카드 |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카드 | 버스·지하철·택시 이용시 10% 결제일 할인 해외 항공 철도 1% 결제일 할인 |
국내전용 8,000원 해외겸용 8,000원 |
기업은행 | I-알뜰교통 플러스 카드 | 버스·지하철 이용시 1일 3회 최대 300원 할인(월 1만원 한도), 철도·고속버스·택시 이용시 5% 할인 | 국내전용 2,000원 해외겸용 4,000원 |
현대카드 | Z-work 카드 | 교통 10% 할인, 출퇴근용 구간반복 할인 | 국내전용 10,000원 해외겸용 10,000원 |
하나카드 | 알뜰교통 마패 신용카드(Hana-BC) | 버스·지하철 이용시 20% 청구할인(월 1만 5천원 한도) | 해외겸용 17,000원 |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용방법
카드를 신청해서 발급받았다면 전용 어플에 등록해 주셔야 합니다. 아직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어플에 접속한 뒤 우측 하단 사람모양 클릭 > 회원 가입 클릭 > 아래로 내려 수령한 카드번호를 넣어 '카드유효성체크'를 한 뒤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처럼 완료하였다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해야 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1. 집에서 나설 때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어플 실행
2. 출발 버튼 클릭
3. 버스 또는 지하철 승차 시 알뜰교통카드 단말기 태그
4. 하차 시에도 반드시 단말기 태그
5. 목적지 도착 뒤 어플 내 도착 버튼 클릭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마일리지 적립기준 및 방법
카드발급과 전용어플, 회원가입, 카드 등록과 같은 준비를 마쳤다면 혜택을 받을 일만 남았는데 여기에는 조건이 있으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한 금액을 기준으로 최대 지급액이 결정되며, 적립액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적립됩니다. 이러한 마일리지 지급액은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최대 90%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동거리에 환승 과정상의 거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마일리지를 적립받으려면 월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15회 이상이어야 하는데, 만약 가입한 첫 달이라면 15회 미만으로 이용하였더라도 마일리지를 적립해 줍니다. 마일리지는 최대 월 60회까지 지급되고 그 이상 이용하였다면 마일리지 적립액이 높은 순서로 60회까지 익월(익익월)에 지급받게 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업을 통해 적립된 마일리지는 3~8일 후 전용 어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체크카드의 경우 카드와 연결된 계좌에 입금되고 신용카드의 경우라면 익월 대중교통비용 청구금액에서 차감 지급됩니다.
'요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송도 맥주축제 출연진 주차 총정리 (1) | 2023.08.30 |
---|---|
손목닥터 9988 신청 사용법 총정리 (0) | 2023.08.30 |
고양 꽃 박람회 예매 입장료 무료 주차정보 (0) | 2023.04.22 |
엠폭스 증상 원숭이두창 감염경로 (0) | 2023.04.19 |
케이테스트 라벨 스티커 테스트 결과 바로가기 (0) | 2023.04.12 |